인공지능 4

[인공지능 기초] 규칙기반 인공지능, 데이터기반 인공지능, 생성형 인공지능

안녕하세요! 나비입니다 🦋 이번 글에서는 규칙 기반 인공지능, 데이터기반 인공지능과 생성형 인공지능의 뜻과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규칙 기반 인공지능 (Rule-Based AI)규칙 기반 인공지능은 말 그대로 "규칙"에 근거하여 판단하는 인공지능을 말합니다. 이때 "규칙"은 사람이 컴퓨터에 수동으로 입력한, 정확하고 엄밀하며 예외가 없는 규칙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은행에서 가입자의 신용대출 금액을 정한다고 할 때, 가입자의 신용점수, 월 수입, 연 수입, 경제활동을 해온 기간, 나이, 기존 대출 내역, 은행 거래 내역 등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재정적 건전성을 확인하기 마련인데요. 이때 "신용점수가 NNN점 이상이고 월 수입이 평균 MMM만 원 이상이고 경제활동 기간이 X년 초과이면 얼마까..

AI, ML, DL 2025.02.03

[인공지능 기초] 회귀(Regression)와 분류(Classification) 뜻과 차이점

안녕하세요! 나비입니다 🦋 이번 글에서는 회귀(Regression)과 분류(Classification)의 뜻과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지난 글에서 양적 변수(Quantitative Variable)와 질적 변수(Categorical Varaible)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그 연장선으로 양적변수와 관련된 회귀, 질적변수와 관련된 분류에 대해 설명해보겠습니다.  양적변수, 질적변수양적변수는 연속형변수라고도 불리며, 연속된 숫자로 이루어진 변수를 말합니다. 예시로 질량, 속도, 길이, 온도 등이 있습니다. 모두 연속되는 실수로 표현가능한 변수들입니다. 질적변수는 양적변수와 달리 변수의 분포가 연속적이지 않고 뚝뚝 끊어지는 변수를 말합니다. 다른 말로 범주형 변수라고도 하는데요. 대표적으로 성별(..

AI, ML, DL 2025.01.22

[인공지능 기초] 척도(Scale), 명목척도, 간격척도, 순위척도, 비율척도

안녕하세요 나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척도”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척도의 4가지 종류인 명목척도, 간격척도, 순위척도, 비율척도에 대해서 순서대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척도(Scale)란?척도는 "측정대상의 속성을 숫자로 치환한 것"을 의미합니다.예를 들어, 여론조사에서 미혼/기혼 여부를 조사하는 상황을 가정해보면 미혼/기혼 여부라는 "속성"을 미혼 0, 기혼 1과 같이 숫자로 바꿔서 나타낸 결과를 척도라고 합니다. 또다른 예시로는 기상 예보를 위해 공기 중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상황을 가정해보면, '좋음'을 1, '보통'을 2, '나쁨'을 3, '매우나쁨'을 4로 치환할 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숫자가 아닌 속성을 척도로 나타내면 확률계산, 통계조사, 전산처리 등 데이터를 다루기가 더..

AI, ML, DL 2025.01.20

[인공지능 기초] 양적변수(Quantitative Variable)와 질적변수(Categorical Variable)

안녕하세요! 나비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인공지능 관련 내용의 첫 번째 시작으로 "양적변수"와 "질적변수"에 대해 설명하려고 합니다. 양적변수는 다른 말로 연속형 변수라고 하기도 하고, 질적변수는 이산형 변수, 범주형 변수라고 불리기도 하는데요, 구체적인 의미와 사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양적 변수 (Quantitative Variable)양적 변수란,"연속된 숫자로 정의되는 변수"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오늘의 날씨"를 변수로 표현하고 싶은 상황을 가정해보면, 대표적으로 기온을 통해 날씨를 나타낼 수 있겠죠? 기온은 1도일 수도 있고, 1.1도 일 수도 있고, 1.1111도 일 수도 있습니다.(기온 측정장치의 정밀성은 가정에서 제외하면 좋겠습니다) 이처럼 구체적인 숫자(실수)로 나타내어지는..

AI, ML, DL 2025.01.18